• 한선 칼럼

  • 한선 브리프

  • 이슈 & 포커스

  • 박세일의 창

[문화일보] 靑 아닌 北 주시하는 軍 키워야 한다
 
2020-05-12 14:11:23

◆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교수는 한반도선진화재단 선진국방연구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를 포함한 안보를 생각하면 불안해서 잠을 이루지 못하겠다. 지난 2년 동안 추진해온 비핵화 협상의 성과는 거의 없고,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완성 단계라고 한다. 미국 과학자협회에서는 북한이 2019년에 10개의 핵무기를 제조해 최소 35개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수호하는 데 매진하는 군인보다는 북한과의 군사 합의를 추진하거나 현 한·미 연합 방위체제의 변화를 추구하는 군인들이 우선으로 진급되는 것 같다.

대개의 정부는 집권하고 나면 군 인사에 개입하려 한다. 군을 확실히 통제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들의 힘도 확인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나 군 수뇌부가 군의 특수성을 차분히 설명하면서 군사 전문성 위주 발탁을 건의하면 정치지도자도 수긍해 군 인사는 금방 정상화되곤 했다. 청와대와 코드가 맞는 군인이 아니라, 적(敵)과 싸워 이길 수 있는 지략과 용기를 갖춘 군인들을 진급시켜야 한다는 데 대한 공감대는 확고해진다.


그러나 현 정부의 경우 4년 차에 들어서면서도 군의 관행을 뛰어넘는 진급이 여전하고, 청와대 근무가 진급의 보증수표가 되며, 논공행상의 방법으로 진급을 인식하는 것 같다. 청와대에 근무하는 군인의 계급도 상향 조정돼 국가안보실 1차장은 예비역 준장에서 예비역 중장, 국방개혁 비서관도 육군 중장,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도 소장으로 높였다. 그만큼 군과 야전의 위상을 낮춘 셈이다.


그 일차적 책임은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군 수뇌부에 있다. 군의 고유영역, 규범, 전통을 존중하도록 청와대에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것 같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 부탁하는 군인보다는 북핵 문제를 불철주야 고민하면서 대응전략을 개발하는 군인, 북한의 기습공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항재전장(恒在戰場)의 마음으로 작전계획의 발전과 부대훈련에 전념하는 군인, 군의 효과적인 인사·군수·전력증강을 위한 제도 개선에 노력하는 군인들을 우선으로 진급시키고자 노력하지 않은 것 같기 때문이다.


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은 저서 ‘군인과 국가(The Soldier and the State)’에서, 군의 정치 개입을 예방하면서 싸워 이길 수 있는 강한 군대를 유지하는 어려움과 그 해법을 설명했다. 군은 철저한 정치적 중립을 유지해야 하고, 동시에 정치인은 군의 전문영역을 철저히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정치가는 군의 영역과 위상, 고유한 규범과 전통을 존중함으로써 군대가 싸워 이기는 문제에만 집중토록 하고, 전투전문가를 발탁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사적 임무를 주더라도 그 구체적인 방법은 군인에게 위임해야 하고, 진급 명단을 결재하더라도 내용에는 개입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그런데 현 정부의 분위기는 헌팅턴의 제안과는 매우 다른 것 같다.


청와대에 근무했던 1명이 진급했다는 것은 야전에서 묵묵히 근무해 온 1명을 진급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전방에서 북쪽만 바라보며 근무해온 군인들이 느낄 박탈감을 생각해 보라. 그들이 앞으로도 후배들에게 오로지 국가와 민족만을 생각하면서 전략전술을 열심히 연구하고, 싸워 이길 수 있는 작전계획을 수립하며, 부대를 철저히 훈련시키는 데만 매진하라고 강조할 수 있겠는가. 이제 군인들은 더욱더 청와대 쪽만 바라보면서 근무하게 될 것이다. 이래서야 필자와 같은 민초가 국가안보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겠는가.



 칼럼 원문은 아래 [칼럼 원문 보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럼 원문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2399 [ifs POST] 저출산 정책은 자녀들의 미래가 보이게 해야 한다 - 여야의 공약,누가 .. 24-02-13
2398 [파이낸셜투데이] 위성정당이 가져올 치명적인 정치적 폐해 24-02-13
2397 [월간중앙] 부동산 정책 오해와 진실(12) 빚내서 집 사는 게 어때서? 24-02-08
2396 [문화일보] 삼성 재판, 국가 자해극 멈춰야 한다 24-02-07
2395 [머니투데이] 대한민국 위기, 이미 잃어버린 20년을 지나고 있다 24-02-01
2394 [아시아투데이] DIME 대북통일전략 24-01-31
2393 [아시아투데이] 진실과 정치가 한 지붕 밑에 사는 일은 드문 법 24-01-31
2392 [한국경제] '자사주 마법'이라는 거짓 프레임 24-01-26
2391 [스타뉴스] K-culture의 글로벌화와 과제 24-01-25
2390 [한국경제] 김정은의 위협·협박에 맞설 전략 24-01-22
2389 [신동아] 대만 1인자 오른 ‘광부의 아들’ 여소야대 자갈길 앞에 서다 24-01-18
2388 [파이낸셜투데이] 기형적인 정당 운영 시스템 개혁이 정치 개혁의 본질이다 24-01-18
2387 [동아일보] ‘연장근로 주단위 계산’ 판결이 던진 근로시간 개편 과제 24-01-11
2386 [에너지경제] 이연된 경제 침체, 실력을 보여줄 때다 24-01-10
2385 [문화일보] 2024 경제와 ‘공급 중시 정책’의 소환 24-01-10
2384 [파이낸셜투데이] 4월 총선 관전 포인트 24-01-05
2383 [시사저널] 2024년 재정운용, 국회·정부·시장 3중 실패 이겨내야 24-01-02
2382 [한국경제] 플랫폼 규제는 '혁신 죽이기'다 23-12-27
2381 [아시아투데이] ‘기회발전특구제도’가 성공하려면 23-12-22
2380 [파이낸셜투데이] 이준석·이낙연 신당의 정치적 운명은? 23-12-22
1 2 3 4 5 6 7 8 9 10